티스토리 뷰

목차



     

    OKR 목표는 세우기는 쉬워도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팀의 행동으로 연결하는 것은 훨씬 어렵습니다 — Notion을 '단일 소스'로, Zapier를 '자동화 엔진'으로 사용해 OKR(목표·핵심결과) 대시보드를 자동화하면 매주·월간 리포트와 알림이 자동으로 돌아가면서 실행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① 개요: 왜 Notion + Zapier로 OKR을 자동화해야 하는가?

    OKR은 전략을 실행 가능한 작업으로 연결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목표(Objective), 핵심결과(Key Result),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이니셔티브(Tasks/Initiatives)가 여러 도구에 흩어져 있어 정합성과 실시간성이 깨지기 쉽습니다. Notion은 문서·데이터베이스·템플릿·뷰 기능을 하나의 워크스페이스에서 제공해 OKR의 '단일 소스'로 적합합니다. Zapier는 Notion과 수많은 외부 툴(Google Sheets, Slack, GitHub, Jira 등)을 연결해 이벤트 기반 자동화(예: Key Result 수치 변경 → 대시보드 업데이트, Task 완료 → OKR 진행률 리셋)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 조합은 수작업 보고를 제거해 팀의 피드백 루프를 단축하고, 주간 스탠드업과 경영진 리포트에 필요한 수치들을 자동으로 갱신하여 '읽고 행동하는' 문화로 전환시킵니다. 또한 Notion의 Rollup·Formula를 Zapier의 트리거와 결합하면 수치 집계·증감률 계산·가중치 반영 같은 계산 로직을 자동화할 수 있어 의사결정의 신뢰도를 높입니다.


    ② 설계: 데이터 모델(데이터베이스 구조) — Objective, Key Result, Initiative, Owner

    가장 먼저 설계할 것은 데이터 모델입니다. 권장 스키마는 네 개의 핵심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첫째, Objectives DB: Objective Title, Description, Owner(Person), Quarter, Status(Draft/Active/Closed), Start Date, End Date, Priority. 둘째, Key Results DB: KR Title, Related Objective(Relation), Metric Type(Number / Percentage / Currency), Baseline, Target, Current Value, Unit, Weight(가중치), Owner(Relation). 셋째, Initiatives(작업) DB: Initiative Title, Related KR(Relation), Task Status(To Do/In Progress/Done), Assignee, Estimated Effort(시간), Start/End Date, Link to Jira/GitHub(External Link). 넷째, Weekly Updates DB: KR(Relation), Update Date, Delta(증감값), Comment, Reporter. Relations과 Rollup을 적극 활용하세요 — Objective에서는 관련 KR의 합계·가중평균 진행률을 Rollup으로 보여주고, KR에서는 관련 Initiative의 완료 비율을 Rollup으로 집계하면 Objective의 실시간 진행률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Formula 필드로는 진행률의 가중 평균, 목표 대비 달성률, 남은 기간 대비 속도 예측(예: 남은 % ÷ 남은 주수) 같은 지표를 만들어 대시보드에서 바로 해석 가능한 숫자를 제공해야 합니다.


    ③ 1일 세팅 실전 가이드: Notion 베이스 만들기(시간 배분 포함)

    하루(약 6~8시간) 안에 최소 운용 가능한 OKR 자동화 베이스를 만드는 실전 플랜입니다. 1) 준비(30분): 조직의 분기(Quarter)와 목표 구조, Owner 목록을 정리합니다. 2) DB 생성(60분): Objectives, Key Results, Initiatives, Weekly Updates DB를 Notion에 생성하고 필드(위 스키마)를 모두 추가합니다. 3) Relation·Rollup·Formula(90분): Objective ← KR ← Initiative 관계를 연결하고 Rollup으로 KR 진행률 집계, KR에 Initiative 완료 비율 집계, Objective에 가중합 Progress 계산 Formula를 구현합니다. 4) 템플릿 제작(45분): Objective 생성 템플릿, KR 업데이트 템플릿, 주간 업데이트 템플릿을 만들어 담당자가 쉽게 입력하도록 합니다. 5) 뷰 구성(45분): Objective 뷰(칸반 by Status), KR 그리드(Top KR), Initiative 캘린더 뷰, Weekly Updates 테이블 뷰를 만듭니다. 6) Zapier 연결 준비(30분): Zapier 계정과 Notion 통합을 인증하고, 외부 소스(예: Google Sheets, Jira, GitHub Actions, Stripe 등)에서 어떤 이벤트를 받아올지 목록화합니다. 7) 간단 자동화 테스트(30분): Zapier로 '새 Weekly Update 입력 → Notion Update' 트리거를 만들어 동작을 검증하고, Slack 알림 연동을 시험합니다. 이 루틴을 따르면 하루 안에 가동 가능한 OKR 시스템을 갖출 수 있습니다.


     

    Notion + Zapier로 OKR 대시보드 자동화 구축법

    ④ Zapier 자동화 시나리오: 구체적 예제 6가지

    실무에서 가장 유용한 Zapier 플로우 예시를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1) 외부 데이터 → KR Current Value 자동 갱신: 예를 들어 Google Sheets나 BigQuery에서 매일 집계되는 매출 수치를 Zapier가 가져와 대응하는 Key Result의 Current Value 필드를 Update합니다. 2) Jira/GitHub 액션 → Initiative 완료 반영: PR Merge 또는 Jira 이슈 Done 이벤트를 감지해 관련 Initiative의 Task Status를 'Done'으로 변경하고, 해당 KR의 Rollup이 자동 반영되도록 합니다. 3) Weekly Digest 생성 → Slack/Email 전송: 매주 특정 시간에 Zapier가 Objective/Top KRs의 진행률 요약(Top 3 리스크, Top 3 성과)을 Notion에서 쿼리해 요약 메시지를 Slack 채널과 이메일로 전송합니다. 4) KR 하한 임계치 알림: 특정 KR의 Current Value가 Baseline 대비 목표의 20% 미만으로 떨어지면 Zapier가 담당자와 매니저에게 Slack DM 또는 태스크(Asana/Jira)를 생성합니다. 5) 생성형 리포트(스냅샷 저장): 분기마다 Objective 페이지를 PDF로 내보내 Google Drive에 저장하고, 경영진 리포트 링크를 자동 공유합니다. 6) Rollback & 에러 로깅: Zapier 실패시 Google Sheet에 로그를 남기고 담당자에게 이메일 알림을 보내 수동 복구가 가능하도록 구성합니다. 각 Zap에는 필드 매핑과 필터(예: 특정 Objective/Quarter만 대상)를 명확히 해 불필요한 업데이트를 방지하세요.


    ⑤ 대시보드 디자인: Notion에서 읽기 좋은 OKR 대시보드 만들기

    대시보드는 '요약 → 세부 → 실행'으로 흐름을 설계합니다. 상단에 경영진용 요약 카드(Quarter, Overall Progress, Top 3 Risks, Top 3 Wins)를 배치하고, 중간에는 팀/프로젝트별 Objective 리스트(각 Objective 카드에 Progress Rollup과 Top KR 노출), 하단에는 작업 레이어(Initiatives 캘린더·월간 계획)를 둡니다. 시각적 가독성을 위해 Progress Bar(Formula로 생성한 %), 조건부 색상(Formula와 베지어식)을 사용해 목표 달성도에 따라 색을 바꾸고, 중요한 KR 옆에 'Trend' 아이콘(지난주 대비 증감)을 노출합니다. 또한 대시보드에는 필터 컨트롤을 제공해 담당자별, 팀별, 기간별로 즉시 전환할 수 있게 하고, 각 Objective 카드에는 'Update' 버튼(템플릿 버튼)으로 주간 업데이트 폼을 열게 하면 입력 장벽을 낮출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행동 촉구(CTA)' 영역을 배치해 '지금 조치해야 할 작업' 목록을 자동으로 뽑아 담당자에게 할당하도록 합니다.


    ⑥ 보고·알림 전략: 읽고 행동하게 만드는 메시지 설계

    알림은 빈도와 내용이 핵심입니다. 너무 자주 오면 무시되고, 너무 드물면 실시간성이 사라집니다. 권장 주기는: 일일(임계치 이상 변화 알림), 주간(주간 요약·스탠드업용), 분기(전사 리포트). Slack 메시지는 '핵심 수치 한 줄 + 행동 요청(예: 승인·리뷰·리프레이즈)' 형식을 유지하세요. 예: ":warning: [KR] Monthly MRR 현저히 저조 — 현재 65% 달성, 예상 달성률 40% → 담당자 @lee 확인 및 원인 분석(48h)". Zapier로는 Notion 쿼리→Formatter로 요약 구성→Slack Send 채널 메시지 또는 Email Digest 전송을 구현합니다. 또한 KPI 변경의 원인 추적을 위해 Weekly Updates DB에 'Root Cause'와 'Action Plan' 필드를 의무 입력으로 두고, Zapier가 'Root Cause 미입력' 건에 대해 자동 리마인더를 발송하게 하면 책임 추적이 쉬워집니다.


    ⑦ 운영 체크리스트 & 거버넌스: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규칙

    장기 운영을 위해 지켜야 할 최소 룰을 정합니다. 1) 데이터 소스의 우선순위(SoT)를 정의해 어떤 시스템의 수치가 우선인지 명시합니다. 2) 누가 언제 KR 값을 업데이트할지 역할(Reporter, Approver)을 정의하고, 업데이트 주기는 최소 주간으로 규정합니다. 3) 자동화 변경 시에는 변경 로그·승인 프로세스를 도입해 Zap 변경이 의도치 않은 업데이트를 일으키지 않도록 합니다. 4) 분기마다 데이터 무결성 감사(무결성 체크: Baseline ≤ Current ≤ Target 등)와 권한 검토를 수행합니다. 5) 비용 통제: Zapier Task 사용량과 Notion API 호출을 모니터링해 플랜 업그레이드 전 비용 예측을 합니다. 6) 교육: 모든 담당자에게 'KR 입력 표준(숫자 포맷, 단위 표기, 업데이트 코멘트 규칙)' 문서를 배포하고, 분기별 워크숍을 통해 준수율을 점검하세요. 이 규칙들을 Notion의 SOP 페이지로 관리하면 팀 온보딩과 운영 신뢰도가 동시에 올라갑니다.


    ⑧ Q&A: 실무에서 자주 묻는 질문

    Q1. 수동 입력을 완전히 없앨 수 있나요?
    A1. 외부 데이터(매출, 사용자 지표 등)는 자동화로 끌어올 수 있지만, 질적 업데이트(리스크, 인사이트)는 사람의 코멘트가 필요합니다. 목표는 '필수 숫자'는 자동으로, '판단·인사이트'는 최소 입력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Q2. Zapier 대신 Make를 써야 할까요?
    A2. Zapier는 설정이 쉽고 템플릿이 많아 초급자에 적합합니다. 다중 조건, 배열 처리, 고도화된 데이터 변환이 필요하면 Make가 비용/유연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조직의 자동화 복잡도를 기준으로 선택하세요.

    Q3. Notion 데이터가 커지면 속도 문제는 없을까요?
    A3. Notion은 일정 규모 이상(수만 레코드)에서 응답성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대규모 시계열 데이터는 Google BigQuery나 Sheets로 아카이빙하고 Notion은 요약·대시보드용으로 유지하는 하이브리드 전략을 권장합니다.


    ⑨ 결론 및 실무용 체크리스트 (다음 액션)

    요약하면, Notion의 데이터베이스 구조(Objectives/KRs/Initiatives/Weekly Updates)와 Zapier의 연결 능력을 결합하면 OKR의 '설정 → 추적 → 행동' 사이클을 자동화해 실행력을 크게 향상할 수 있습니다. 즉시 실행 가능한 체크리스트: 1) 조직의 분기(Quarter)와 Objective 리스트 정리(팀별 Top 3) — D0. 2) Notion DB 스키마를 생성하고 Relation·Rollup·Formula를 적용 — D1. 3) Zapier로 외부 수치 소스 1개(예: Google Sheets 매출)와 KR 자동 업데이트 Zap 구성 및 테스트 — D2. 4) 주간 Digest Zap을 만들어 Slack 채널로 전송 — D3. 5) 운영 SOP(입력 규칙, 알림 룰, 에러 대응) 문서화 및 교육 — D7.


    🎯 업무 생산성·SaaS 시리즈, 20편중, 전18편 후20편 추천.